서브 배너

고객센터Customer

전화

043-543-6661

상담시간 평일 09:00 ~ 18:00 (점심시간 12:00~13:00)
주말, 공휴일은 휴무입니다.
농장갤러리 바로가기

1:1고객게시판

> 고객센터 > 1:1고객게시판
순번 제목 작성자 등록일자 조회
5562거지의 사랑을 받게 된 사람이야말로 군주중의 군주이다. [칼릴 지브란] 신지후2025-08-1717
5561질병은 가장 큰 인생의 기쁨의 하나를 주는 것이다. 다시 말하면 회복의 쾌감, 그리고 새롭게 된 생활의 맛이 그것이다. -칼 힐티 전준우2025-08-1717
5560꿈은 거꾸로 간다 오민준2025-08-1717
5559옥도 닦지 않으면 그릇이 될 수 없다.[예기] 권서진2025-08-1716
5558젊은이들은 밤중에 태어나서 이튿날 아침 해돋이를 처음 보는 갓난애들 같기 때문에, 어제란 으례 없었던 것처럼 생각하기 쉽다. ―서머셋 ... 임현준2025-08-1716
5557제일 많이 바쁜 사람이 제일 많은 시간을 가진다. 정서진2025-08-1715
5556친절하게 행동하라. 그러나 감사는 절대로 기대하지 말라. -공자(孔子) 전주원2025-08-1715
5555만약에 개들이 말을 할 수 있다면 우리는 사람들과 사귀는 노릇만큼이나 개들과 친하게 지내는 일도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. ―... 박우진2025-08-1715
5554모든 날 중 가장 완전히 잃어버린 날은 웃지 않은 날이다.(샹포르) 조우진2025-08-1716
5553우연의 일치란, 이름을 밝히기 싫어하는 신이 가져다 준 하나의 작은 기적. ―H.Q. 황민재2025-08-1715
5552미국의 정치가. 과학자. ‘하루 24시간을 아껴 쓰는 사람만이 남들보다 앞서 간다’ 조서진2025-08-1713
5551기쁨이란 왕이 거주하는 마음의 성벽에 휘날리는 깃발이다. 황도현2025-08-1713
5550큰 거짓말은 마른 땅 위에 오른 큰 물고기와 마찬가지. 그것은 안달을 하며 날뛰어 몹시 성가시지만 당신을 해칠 수는 없다. 가만히 놓아... 정도현2025-08-1714
5549큰 나무는 바람을 많이 받는다.(카네기) 한민준2025-08-1712
5548돈을 잃은 사람은 많이 잃은 사람이고, 친구를 잃은 사람은 더 많이 잃은 사람이다. 그러나 용기를 잃은 사람은 모든 것을 다 잃은 사람... 최서준2025-08-1712
5547버들가지는 약하나 다른 재목을 묶는다. [하버트] 박도윤2025-08-1711
5546자신이 존재한다는 바로 그 사실에 한번도 놀라보지 못한 사람은 가장 위대한 사실을 놓치고 있는 사람. ―J.F. 조준우2025-08-1711
5545산적(山賊)을 멸(滅)하기는 쉬워도 심중(心中)의 적을 멸하기는 어렵다. - 왕양명(王陽明) 임도윤2025-08-1710
5544일어서서 자기 주장을 펴는 데도, 앉아서 귀기울여 듣는 데도 꼭같이 용기가 필요한 법. ―C.H.V. 전도현2025-08-179
5543사소한 것으로 만족하지 않으면 부로서도 만족하지 않는다. /비일란트 권현준2025-08-179
5542약속을 잘하는 사람은 잊기도 잘하는 법. ―토마스 풀러(英 목사) 황준서2025-08-178
5541여자는 남자에게서 받은 상처는 용서할 수 있지만 자신을 위해 하는 희생은 절대 용서하지 못한다. (서머셋 모옴) 정지훈2025-08-178
5540중국 송대의 사상가. 노자의 제자로 응당 지켜야 할 도리를 깨우치고 자연을 즐기자는 도가 임예준2025-08-178
5539말은 마음의 열쇠이다. /중국격언 오현우2025-08-177
55381퍼센트의 가능성, 그것이 나의 길이다. [나폴레옹] 최지호2025-08-177
5537한 문제를 반쯤 아는 것보다는 모르는 것이 더 낫다. /푸블릴리우스 시루스 신서준2025-08-177
5536순간을 사랑하라. 그러면 그 순간의 에너지가 모든 경계를 넘어 퍼져나갈 것이다. (코리타 켄트) 송준서2025-08-177
5535독서는 나 자신에게 줄 수 있는 진정한 선물이다.[세프라 코브린 피첼] 강지호2025-08-177
5534적의 약점을 잡았을 때, 적과의 최상의 거래를 할 수 있다. 최현준2025-08-177
5533가을은 모든 잎이 꽃으로 변하는 제2의 봄. ―알베르 까뮤(1913∼1960, 프랑스 작가) 장주원2025-08-177